우리 모두의 책임과 아픔.. ▶◀

 

 

우리 모두의 책임과 아픔 (김영석)

 

우리가 살아왔던 시절에 꾸지람이나 매 맞는 것은 집이나 학교에서도 일상적이었던 시절이었다.

그러다보니 자신도 모르게 그런 것에 익숙해졌고, 참아내는 면역력이 생겼는지도 모른다.

그 시절엔 학부모가 학교에 와서 선생님 앞에서..

"선상님 자식놈 때려서라도 사람만 만들어 주시요" 가 사회적 환경과 보편적인 사고방식 이였지 않나 싶다.

 

지금은 시대가 변하고 문화가 변해서 자라면서 가정에서도 학교에서도 매를 맞는 일은 거의 없다.

매를 들어야 옳고 좋다는 얘기는 아니다.

다만, 자녀가 제자가 바른 생각과 길을 가도록 잘못에 대한 정당한 지적과 적절한 제제가 필요한 것인데도..

요즘의 세태는 부모도 선생도 그런 부분에 소홀한 게 현실이다 보니 어른이라고 노인이라고 바른 소리 잘못했다간 큰 봉변을 당하기 쉽다.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지하철에서 노인에게 막말과 폭행에, 심지어 아이가 귀엽다고 만졌더니 남의 아기 함부로 만졌다고 할머니에게 폭언과 페트병으로 면상을 날리는 젊은 주부... 참으로 비참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가르치는 사람도 학생들에게 전인교육이 아닌 지식전달 부분에 비중을 둘 수밖에 없게 되고 소극적인 지적과 통제를 하게 되다보니..

그런 환경은 아이들에게서 참을성과 통제력을 빼앗아 가서, 그렇게 자란 아이들이 훗날 작은 꾸지람이나 지적, 사소한 다툼이나 충돌에도 분노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인성을 만들어 버리는 우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어느 한부분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과 학교, 사회 전반적인 공동의 문제며, 우리 모두는 그런 책임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이다.

 

결과와 실적을 중요시하고 전인교육은 사라져버린 학교와 사회,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영화, 게임, 그런 미디어 매체들은 아이들에게서 폭력성, 인내와 통제의 면역력 결핍이라는 무서운 병을 안긴 듯하다.

예전 같으면 참고 넘어갈 수 있었고 혼자서도 분을 삭일 수 있는 조절능력의 내성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러한 스트레스에 대해 극단적인 행동으로 묻지마 범죄며, 군부대 총기나 폭약사고, 자살이라는 비극의 운명으로 극단적 결과를 표출하고 만다.

 

이 모든게 공동의 문제임을.. 우리의 문제임을 돌아봐야 할 것 같다.

오늘 총기사고로 해병대 4명과 훈련 중 사고로 육군부대 1명의 젊은 영혼이 유명을 달리했다.

그들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의 아픔과 상처가 하루 빨리 치유되길 잠시나마 빌어본다..

 

 

TAGS.

Comments